30일 이해인 수녀 ‘가을 편지 콘서트’

일생을 수도자로 살며 세상에 감사와 위안을 전해 온 이해인(클라우디아) 수녀가 첫 시집 「민들레의 영토」 발간 이후 약 50년 동안 받아온 사랑에 대한 감사를 전하는 ‘이해인 수녀 가을 편지 콘서트’가 마련된다. 한국가곡방송이 주최하는 공연에서는 이 수녀가 삶에 대한 감사와 그리움을 표현한 연작시 ‘가을편지’ 18편에 박경규(스테파노) 작곡가가 곡을 붙인 연가곡집 「편지」 전곡이 연주된다. 연가곡집 ‘편지’는 유럽의 대표 가곡인 독일의 리트, 프랑스의 멜로디, 이태리의 칸초네 등과 달리 우리 가곡과 가요의 중간인 대중가곡 형태로 작곡돼 한국적인 정서를 지니고 있다. 이날 공연에선 편지 이외에도 <강>(이해인 시, 박은회 곡)과 <대관령>(신봉승 시, 박경규 곡)도 들을 수 있다. 소프라노 강혜정(보나)와 바리톤 송기창(미카엘)·김성길, 피아니스트 이성하 씨가 출연해 아름다운 선율을 수놓을 예정이며, 공연의 사회는 방송인 안현모(리디아) 씨가 맡는다. 또한 이 수녀가 직접 참여하는 토크 시간도 마련돼 수도 생활 60년을 회고하며 수도 생활 가운데 만난 뜻깊은 인연과 영성 메시지를 전한다. 관객과의 즉문즉답을 통해 관객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아름답고 행복한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해인 수녀 가을 편지 콘서트’는 오는 11월 30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영산아트홀에서 열린다.

2024-11-24

구원 간절함 담긴 ‘착한 사마리아인’ 만나볼까

반 고흐의 최고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착한 사마리아인>(들라크루아 원작)을 눈앞에서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불멸의 화가 반 고흐’ 전이 12년 만에 열리는 것. 이번 전시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반 고흐 미술관과 함께 고흐의 작품을 가장 많이 소장한 것으로 알려진 오테를로의 크륄러 뮐러 미술관 단일 컬렉션으로 이뤄진다. 크륄러 뮐러 미술관의 소장 작품 가운데 선별된 원화 76점을 전시하며, 작품의 총평가액은 1조 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극적인 색채 대비와 강한 터치가 특징인 <착한 사마리아인>이다. 고흐는 1890년 5월 생레미 정신병원에 입원한 시절, 프랑스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의 <착한 사마리아인>을 보고 이 그림을 모작했다. 깊은 정신적 고통에서도 창작을 이어 간 고흐는 그림을 통해 구원과 영혼의 평화를 갈망하는 마음을 담아냈다. ‘누가 우리 이웃입니까?’라고 묻는 율법학자의 질문에 예수님께서는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루카 10,29-37)를 들었다. 고흐의 그림 가운데 사마리아인이 다친 이를 힘겹게 말에 태우는 역동적인 모습이 자리하고 있다. 사마리아인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으며, 다친 이는 옷이 벗겨진 채 기진맥진한 표정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뒤로는 아픈 이를 등진 채 길을 떠나는 레위인과 제사장의 모습이 보인다. 전시에서는 <착한 사마리아인> 외에도 고흐의 작품 연대에 따른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전시는 네덜란드 시기(1881~1885년), 파리 시기(1886~1888년), 아를 시기(1888~1889년), 생레미 시기(1889~1890년), 오베르 쉬르 우아즈 시기(1890년) 5개의 테마로 구성됐다. 고흐가 그림 수업을 배우며 첫 유화를 완성한 시기의 작품 <밀짚모자가 있는 정물화>, <감자 먹는 사람들> 등부터 <자화상>, <슬픔에 잠긴 노인>(영원의 문에서), <석고상이 있는 정물화>, <생트 마리 드 라 메르의 전경>, <씨 뿌리는 사람>, <꽃이 핀 밤나무>, <젊은 여인의 초상> 등 대표작들이 걸린다. 고흐가 예술가로서 10년간 남긴 불후의 명작들을 만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11월 29일부터 내년 3월 16일까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개최된다.

2024-11-24

[이준형의 클래식 순례] 퍼셀의 <환호하라! 눈부신 체칠리아를>

11월 22일은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입니다. 음악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체칠리아 성인은 특히 가깝게 느껴지는 분입니다. 바로 음악과 음악인들의 주보 성인이기 때문이지요. 성인은 로마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3세기 중반쯤에 순교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음악의 성인이기 때문에 예부터 오르간이나 하프, 혹은 바이올린 같은 악기를 들고 있거나 연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아서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음악과 관련이 있는 기관이나 장소, 축제 등에 성인의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로마에 있는 저명한 음악원 이름도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이지요. 성인의 축일은 르네상스 시대부터 ‘음악가의 날’이나 음악 축제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성인을 기리는 음악 작품을 연주하는 곳도 있었고, 음악가들이 모이기도 했습니다. 바로크 시대에는 영국 작곡가 헨리 퍼셀과 조지 프리데릭 헨델의 송가, 프랑스 작곡가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의 오라토리오가 있고, 요제프 하이든과 샤를 구노도 성인에게 봉헌하는 미사곡을 썼습니다. 20세기에는 체칠리아 축일에 태어난 벤자민 브리튼이나 제임스 맥밀런이 멋진 작품을 남겼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작품은 헨리 퍼셀이 1692년 발표한 <환호하라! 눈부신 체칠리아를>(Hail! Bright Cecilia)입니다. 17세기부터 영국에서는 큰 도시를 중심으로 체칠리아 축일에 음악회를 여는 전통이 생겼습니다. 런던에서도 1683년에 런던 음악 협회(Musical Society of London)가 창립됐는데, 당대 최고의 작곡가였던 퍼셀에게 성인에게 바치는 작품을 의뢰해 축일에 연주했습니다. 그 후 퍼셀은 세 번이나 더 의뢰를 받아 작품을 썼는데, <환호하라! 눈부신 체칠리아를>은 그중 마지막 작품입니다. 퍼셀은 당시 영국 궁정에서 군주의 생일이나 결혼, 신년을 축하하는 음악이었던 ‘송가’(Ode) 형식을 빌려 성인을 찬미하는 음악을 썼는데, 가사는 니콜라스 브래디가 쓴 송시를 활용했습니다. 가사는 다양한 표현으로 체칠리아 성인에게 찬사를 보내는데, 어떤 의미에서는 성인이라는 상징을 통해서 음악의 힘을 찬미하는 뜻을 담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 기록을 보면 ‘도시 제일의 가수와 연주자들’(Best voices and hands in town)이 연주했다고 하는데, 이 작품은 퍼셀이 쓴 다른 송가보다 작품과 악단 규모가 큽니다. 합창 사이에는 사라방드와 미뉴에트, 파사칼리아 등 춤곡 리듬을 품은 아름다운 독창이 있고, 오보에와 리코더, 트럼펫 등 여러 악기가 가사를 멋지게 표현했습니다. 특히 웅장한 합창을 대위법적으로 펼쳐내는 마지막 악장에서는 바로크 음악의 정연한 형식과 자유로운 감정 표현이 조화를 이룬다는 느낌입니다. 글 _ 이준형 프란치스코(음악평론가)

2024-11-17

할머니와 손자, 따로 또 같이 희망을 그리다

동양화가 할머니와 자폐성 발달장애를 지닌 팝아트 작가 손자의 특별한 전시회가 열린다. 청림 허옥순(클라라·서울대교구 석촌동본당)과 정도운(엘리야·서울대교구 세곡동본당) 작가가 그 주인공. 허 작가는 오래전 자신의 얘기로 운을 뗐다. “50대 중반 무렵에 교통사고를 크게 당했어요. 몸이 아프다 보니 마음에도 병이 나더라고요. 살고 싶지 않다는 생각까지 들었죠. 그때 눈앞에 나타난 게 그림이었어요.” 신문에 난 ‘사회교육원 사군자반’ 광고 하나만을 보고 전북 전주에서 서울 홍대까지 올라와 처음 손에 붓을 쥐었다. 쉬이 오가기 힘든 먼 거리임에도 고통을 잊기 위해 그림에 매진하니 어느덧 몸과 마음의 아픔도 나아져 지금까지 흘러왔다. 그 사이 손자는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아이로 자랐다. 좋아하는 그림을 실컷 그릴 수 있기를 희망한 가족의 바람에 따라 미술고에 진학해 한국화를 전공할 수 있었다. 졸업 이후 강남장애인복지관, 잠실창작스튜디오 등 기관의 청년 예술가 육성 프로그램 등을 통해 예술가로서 자립하고 있는 정 작가. 그렇게 각자의 그림 세계에 빠져 시간을 보낸 둘이 이제 동료 작가로서 합동 조손전을 연다. 허 작가의 작품은 실재 경관을 담은 진경산수화를 비롯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과 식물 등이다. 그에게 그림을 그리는 시간은 하느님을 체험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그림을 본 사람들이 ‘그림이 살아 있는 것 같다’고 말해 줄 때가 가장 행복해요. 하느님이 창조하신 자연을 제 손으로 직접 그리면서 그 섭리와 감사함을 느끼죠.” 정 작가는 주로 톡톡 튀는 색감을 바탕으로 자신이 만나 보고 싶은 가수와 배우의 모습을 담은 팝아트 작품을 그린다. 인물 옆에는 앨범 트랙 리스트, 필모그래피 등을 빼곡히 적는다. 단순한 인물 그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역사를 기록하고자 한 것이다. 최근에는 할머니가 그린 자연 그림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탄생시키는 작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 개인 SNS를 통해 관객들과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기도 한다. 그림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있는 것. 35여 년 동안 쉼 없이 달려온 허 작가의 그림 시계는 아쉽게도 잠시 멈춘 상태다. 황반변성으로 인해 더 이상 그림을 그리기 어려워진 것. 그럼에도 허 작가는 “자신만의 그림으로 길을 개척하고 있는 손자가 있으니 기쁜 마음뿐”이라며 “그간 그린 작품들을 손자와 함께 선보일 수 있어 기대된다”고 밝혔다. “힘든 시기에 그림으로 치유 받고 제2의 인생을 살 수 있었다”고 말하는 할머니와 “그저 그림을 그리는 순간이 재밌다”고 말하는 손자. 80대와 20대, 여성과 남성, 비장애인과 장애인. 접점이라곤 없어 보이는 이들은 ‘그림’이라는 희망으로 연결돼 있었다. ‘할머니와 나’를 주제로 하는 두 작가의 전시는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지원을 받아 개최되며, 12월 1일부터 7일까지 서울 강남구민회관 전시실에서 만나 볼 수 있다.

2024-11-17

성경 속 인물 바로 눈앞에…‘빛의 거장 카라바조&바로크의 얼굴들’ 展

바로크 미술의 거장 카라바조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한국·이탈리아 수교 140주년 기념 ‘빛의 거장 카라바조&바로크의 얼굴들’ 전시가 11월 9일부터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린다. 카라바조는 빛과 그림자의 강한 명암 대조를 사용한 테네브리즘의 창시자다. 또 사실주의 기법을 최초로 사용해 바로크 예술사의 시작이자 현대 예술의 시작을 알린 화가로 알려졌다. 정적이고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한 르네상스 화풍과 달리 마치 대상이 눈앞에 있는 듯한 현실 같은 그림을 그렸다. 이는 당시 가톨릭교회가 직면한 반종교 개혁정신과 맞물리면서 교회와 대중 모두에게 큰 사랑을 받는 계기가 됐고, 그가 구축한 화풍은 바로크 예술의 거장인 루벤스, 렘브란트, 벨라스케스 등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전시는 카라바조가 13세에 이탈리아 북서부 롬바르디아에서 수련을 시작해 20대에 로마와 나폴리에서 명성을 얻고, 이후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38세에 이르기까지의 여정을 따라 총 7개 섹션으로 나뉜다. 특히 이탈리아 유명 미술관 우피치미술관이 소장한 카라바조의 주요 작품들이 소개된다. 예수가 겟세마니 동산에서 본시오 빌라도의 로마 병사들에게 체포되는 순간을 묘사한 <그리스도의 체포(The Taking of Christ)>와 가톨릭 종교개혁의 상징이 된 <성 토마스의 의심(The Incredulity of Saint Thomas)>을 포함해 <묵상하는 성 프란치스코(St. Francis in Meditation)>,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David with the Head of Goliath)>, <성 세바스티아노(Saint Sebastian)>, <황홀경의 막달라 마리아(Mary Magdalene in Ecstasy)> 등이 전시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카라바조의 라이벌로 불린 안니발레 카라치를 비롯해 오라치오 로미 젠틸레스키, 구에르치노 등 동시대 화가들의 작품 총 57점이 걸린다. 해외 반출이 엄격히 제한되는 카라바조의 작품 전시는 주한이탈리아대사관, 주한이탈리아문화관, 이탈리아관광청, 주한이탈리아상공회의소의 후원으로 성사됐다. 미켈라 린다 마그리 주한이탈리아문화원장은 “이번 전시는 16세기와 17세기에 활동했던 카라바조의 화풍을 따른 후예들을 일컫는 ‘카라바제스키(Caravaggeschi)’의 작품으로 더욱 풍성하게 구성됐다”며 “이탈리아 예술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이자 양국 간 문화 교류의 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전시 기간 : 11월 9일~2025년 3월 27일 ■ 관람 시간 : 10시~19시(입장 마감 18시, 월요일 휴관) ■ 관람료 : 성인(19~64세) 22,000원, 청소년(13~18세) 17,000원, 어린이(37개월~12세) 14,000원

2024-11-10
기사 더보기더보기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