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묵상

[말씀묵상] 대림 제2주일

이승환
입력일 2024-11-29 수정일 2024-12-05 발행일 2024-12-08 제 3420호 19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제1독서 바룩 5,1-9 / 제2독서 필리 1,4-6. 8-11 / 복음 루카 3,1-6
Second alt text
카라바조 <요한 세례자> 1904년, 미국 캔자스시티 넬슨앳킨스 박물관

어느덧 대림 시기가 되었습니다. 세상의 달력으로 보면 한 해의 끝자락이지만, 교회 전례력에서는 새해를 시작하는 때입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계절의 흐름에서는 가장 추운 겨울이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전례력에서는 새로워지는 시기입니다. 겉보기에 두 흐름은 다르게 보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우리로 하여금 지나온 삶을 돌아보고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묻게 합니다.

대림절은 영어로 ‘Advent’, 즉 ‘오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자로는 대림(待臨), 즉 ‘임하시는 것을 기다린다’는 의미로 예수님의 오심을 기다린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기다리다’라는 단어가 깊이 와닿습니다. 기다림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오늘 복음을 중심으로 묵상해 보았습니다.

기다림은 참 묘한 감정입니다. 때로는 설레지만, 때로는 오지 않을까 두렵기도 한 복합적인 감정을 동반합니다. 어릴 적에는 성탄절을 기다리며 마냥 즐겁고 설렜습니다. 성탄절의 즐거움만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탄절이 단순히 예수님의 생일 잔치가 아니라,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하느님께서 사람이 되신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예수님의 오심을 기다리는 것은 곧 구원을 기다리는 일임을 깨달았습니다.

삶의 경험이 쌓이고, 어려움과 세상의 암담함을 느끼면서 기다림에는 두려움이 스며들기 시작했습니다. 정말 세상이 바뀔 수 있을까? 우리의 간절함이 하늘에 닿을까? 예수님이 오셨는데 왜 구원은 여전히 멀게 느껴질까? 신앙인으로 사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 아니, 이런 세상에서 신앙을 갖고 산다는 것이 가능하기나 할까? 이런 질문과 의문들 속에서 예수님을 기다리는 일이 마냥 즐겁지만은 않음을 느끼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대림 시기 동안 무엇을 기다리고 있는 것일까요? 어떤 마음으로 기다려야 할까요? 성경에는 예수님이 탄생한 뒤 성전에서 봉헌될 때, 그분을 기다리던 두 인물이 등장합니다. 바로 시메온과 한나입니다.(루카 2,25-39 참조) 이들은 누구보다도 간절히 예수님을 기다렸기에 성전에서 부모와 함께 온 아기 예수를 기쁘게 맞이합니다.

이들이 어떤 마음으로 기다렸는지는 다 알 수 없지만 성경은 시메온에 대해 ‘의롭고 독실하며 이스라엘이 위로받을 때를 기다리는 사람’이라 말하고, 한나는 ‘성전을 떠나지 않고 단식하고 기도하며 밤낮으로 하느님을 섬겼다’고 묘사합니다. 이로 보아 두 사람은 누구보다도 하느님의 자비와 구원을 깊이 신뢰하며, 그분께 모든 것을 의탁하며 살아온 사람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신뢰와 의탁의 마음이 예수님을 기다리는 이들이 품어야 할 마음이 아닐까요? 반면, 자신의 기대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하느님 없이도 잘 산다고 믿는 사람들은 예수님을 별로 기다리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흥미롭게도, 구원의 역사에서 기다림은 늘 하느님의 몫이었습니다. 구약 성경을 보면 하느님은 늘 인간을 부르십니다. 아브라함과 모세, 수많은 예언자를 통해 당신의 백성으로 살기를 바라셨지만, 인간은 하느님의 부르심에 제대로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늘 하느님의 부르심에 대답하는 척하면서도 실은 하느님께 가지 않고 그들은 자신의 욕망과 기대를 채워줄 신을 찾을 뿐이었습니다.

오지 않는 인간을 기다리던 하느님은 기다림에 지쳐 결국 인간이 되셔서 우리 가운데로 오셨습니다. 이렇게 오시는 하느님을 가장 적극적으로 기다린 이는 앞서 말한 시메온도, 한나도 아닙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세례자 요한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는 인간을 위해 오시는 하느님을 막연히 기다리기만 한 것이 아니라 광야에서 기도하고,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의 세례를 선포하며 주님의 길을 마련하였습니다.

요한은 사제 즈카리야의 아들입니다. 그러나 그는 아버지처럼 성전에서 하느님을 기다리지 않고 광야로 나아갔습니다. 왜 그는 황량한 광야에서 주님을 기다렸을까요? 왜 기존의 관습과 달리 세례를 베풀며 회개를 촉구했을까요?

요한은 그 누구보다도 더 세상에 대한 절망과 인간에 대한 회의를 느꼈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는 절망과 회의에 자신을 맡기지 않았습니다. 대신 어둠과 황량함으로 가득한 광야에서 세상에서 떠드는 소리가 아닌 자신의 안에서 들리는 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그 소리는 하느님을 신뢰하고 이를 준비하기 위해 세상에 하느님의 소리를 내라고 요한에게 말합니다. 이처럼 구원의 역사는 세상에 대한 막연한 기대나 환상보다는 짙은 어둠을 직시한 사람들에 의해 준비됩니다.

놀랍게도 요한의 외침에 많은 이가 응답했습니다. 그들도 어딘가에서 희망을 찾고 있었던 것입니다. 죄를 고백하며 세례를 받는 사람들 속에서, 하느님을 향한 간절함과 기다림이 깨어났습니다.

요한은 ‘말씀’을 준비한 ‘소리’입니다. 그는 스스로가 ‘말씀’이 아님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저 세상이 ‘말씀’을 들을 수 있도록 광야에서 ‘소리’가 되어 세상 사람들 마음속에 숨죽이고 있던 ‘기다림’을 깨웁니다.

요한은 우리를 광야의 소리로 살도록 초대합니다. 예수님을 기다리는 사람은 막연히 넋 놓고 기다리는 사람이 아니라, 세상 사람들 마음속에 있는 하느님을 향한 열망과 그분에 대한 기다림을 일깨우는 소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한은 자신의 삶으로 보여줍니다.

오늘은 인권 주일이자 사회교리 주간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교회를 이루는 우리 모두는 세상 사람들에게 인간의 존엄함과 공동선을 일깨우는 ‘소리’가 되어 예수님의 오심을 준비해야겠습니다.

Second alt text

글 _ 현재우 에드몬드(한국평단협 평신도사도직연구소 소장)

이승환 기자 lsh@catimes.kr